-
목차
공무원이 되고 싶은 많은 이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월급은 얼마나 받나요?"라는 질문입니다. 정년이 보장되고, 안정적인 직업이라는 이미지 외에도 공무원 보수는 매년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체계적으로 책정되기 때문에 예비 수험생은 물론 현직 공무원들도 항상 주목하는 정보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공무원 연봉은 직급별, 호봉별로 명확히 규정되어 있으며, 인사혁신처에서 공개한 공식 자료 및 공무원보수규정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9급부터 1급까지 실제 월봉급액과 연봉 추산치를 정리해드립니다.
✅ 2025 공무원 봉급표: 직급별 호봉별 월급
계급1호봉5호봉10호봉20호봉9급 2,000,900원 2,104,000원 2,456,700원 3,146,900원 8급 2,028,200원 2,228,500원 2,717,900원 3,450,300원 7급 2,173,600원 2,480,300원 3,027,300원 3,834,200원 6급 2,308,700원 2,756,600원 3,351,400원 4,231,500원 5급 2,798,500원 3,276,200원 3,929,300원 4,910,800원 4급 3,131,600원 3,657,200원 4,345,600원 5,406,100원 3급 3,653,800원 4,210,900원 4,940,700원 6,127,600원 2급 4,049,900원 4,661,900원 5,451,700원 6,771,100원 1급 4,498,600원 5,152,700원 6,030,200원 7,507,800원 ※ 위 표는 기본 봉급이며, 여기에 각종 수당(지역가산, 직무수당, 정근수당 등)이 추가됩니다.
✅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
기본 봉급 외에도 공무원은 다양한 수당을 지급받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
- 정근수당: 일정 근무기간 이상인 경우 매년 지급
- 명절휴가비: 설, 추석 연 2회 지급
- 직급보조비: 6급 이하 13만~14만원
- 식대, 교통보조비: 월 약 14만원
- 시간외근무수당: 부서별 편차 존재
예를 들어, 9급 1호봉 공무원의 경우 기본 봉급은 약 200만원이지만, 수당을 모두 포함하면 실수령액은 230~250만원 수준이 됩니다.
✅ 공무원 연봉 계산 방법
연봉 = (기본봉급 + 정액수당) × 12 + 명절휴가비 + 정근수당 + 기타 수당
실제로 9급 공무원의 경우 연봉은 약 3,000만 원대 초반,
6급 이상부터는 4,000~5,000만 원대,
5급 사무관 이상은 5,000만 원 후반~7,000만 원대까지 올라갑니다.특히 호봉이 누적되면 급격한 인상이 적용되므로, 장기근속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 2025년 공무원 연봉, 어떻게 변화했을까?
2025년 공무원 보수는 2024년 대비 약 2.6% 인상되었습니다. 정부는 물가상승률과 공무원의 사기 진작을 위해 매년 봉급표를 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에는 물가 불안정 상황에 따라 실질적 임금 인상이 체감되도록 조정한 점이 특징입니다.
✅ 마무리 한 마디
공무원 연봉은 단순히 ‘얼마 받는다’ 수준이 아니라, 정년 보장과 안정적인 수입이 결합된 구조입니다. 매년 변화되는 보수규정을 숙지하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진로를 설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진로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간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초기증상 무시하면 생명 위협! 꼭 알아야 할 조기 신호와 관리법 (0) 2025.06.17 광복 80주년 기념, 국가상징 디자인 공모전 열려! (0) 2025.06.12 내 연봉은 대한민국에서 몇 % 일까?? (0) 2025.06.06 아이패드 먹통일 때 전원 끄기 및 강제 재부팅 완벽 가이드 (0) 2025.05.25 노트북 멈춤 현상, 블루스크린 뜰 때 이렇게 해보세요 (0) 2025.05.24